안녕하세요, 급구입니다.
벌써 2024년의 1분기가 지나고 4월이 되었습니다!
올해는 정말 시간이 빨리 가는 듯 하는데요.
오늘도 알찬 아르바이트 관련 정보를 알려드리고자 달려왔습니다🏃💨

보통 정규직에서는 '퇴직금'이라는 개념이 아주 익숙한데요!
과연 아르바이트에도 퇴직금이 필요할까요?
바로 정답을 이야기 하면, 아르바이트에도 퇴직금은 존재합니다💡
어떤 경우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아르바이트 퇴직금이란?
먼저 퇴직금의 개념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볼까요?
근로자가 일정 기간 근로를 제공하고 퇴직하는 경우 지급되는 금전을 말하며, 고용주가 지속된 근무 기간 1년 동안 30일분 이상의 평균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퇴직금 [severance pay, 退職金] (예스폼 서식사전)
즉,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근무를 제공했다면
퇴직 시에 지급 받아야 하는 급여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는 조건은 무엇일까요?
아래 조건에 모두 해당한다면, 해당 근로자에게는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 근로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
- 4주간 평균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경우
- 한달에 60시간 이상 근로
- 소정근로시간은 근로계약서상에 나와 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산정
이러한 퇴직금은 근로자의 동의 없는 한 통상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되어야 합니다.

📐퇴직금 계산법은?
이러한 퇴직금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아래에서 퇴직금 계산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평균임금 = 사유 발생일 전 3개월 동안의 임금 총액÷365일)
그렇다면 위 계산법을 통해 계산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기준
- 만 2년 근무자, 매달 100만원의 임금인 경우
- 평균임금
- 300÷91일 = 32,967원
- 퇴직금
- 32,967×30일×730일÷365일 = 1,978,020원
해당 계산 예시를 통해서 퇴직금 계산법을 보다 쉽게 이해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무단결근한 알바생의 경우라면?
다만 무단결근 상태여서 퇴사처리가 아직 되지 않았다면 어떨까요?
근로 기간은 1년 이상인 경우라면 그래도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무단결근자에게 빠른 시간 내에 메시지나 내용증명 발송을 통해
근로 관계를 당연 퇴직으로 종결 지어야 하며,
갑작스러운 무단결근으로 사업장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무단결근자에게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한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단, 손해 발생에 대한 입증자료가 측정이 어렵고 충분치 않아 해당 판결은 적다고 하네요.

지금까지 아르바이트의 퇴직금 개념과 그 계산법 산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르바이트에도 퇴직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퇴직금 지급 조건이 된다면 꼭 준수하여 근로 관계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아르바이트 정보를 빠르게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알바앱 급구에서는 아르바이트 정보를 누구보다 빠르게 전달 받으실 수 있도록
다양한 알바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알려드리고 있어요😄
사장님이시라면, 내 가게 주변의 맞춤 알바생을 추천 받을 수 있고
구인글 등록 시 빠른 아르바이트 생 매칭이 가능하답니다!
알바어플 급구로 구인구직, 알바 구하기, 투잡, 당일 알바, 단기알바, 오늘알바, 장기 알바, 재택 알바, 부업, 투잡 등 각종 도움을 받아보세요👋
앞으로도 급구에서 많은 알바 관련 정보를 알려드리고,
구인구직 활동을 보다 쉽고 빠르게 도와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쉽고 빠른 알바 구할 땐 알바 어플 급구를 찾아주세요🔍 감사합니다 :)


Member discussion: